MySQL 서버 변수중 back_log라는 시스템 변수가 있습니다.이 변수는 MySQL 커넥션 성능과 굉장히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OS 커널파라미터중 네트워크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이 시스템 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서버 변수 back_log에 대한 설명MySQL이 가질 수 있는 미해결 연결 요청 수 입니다. MySQL 스레드가 매우 짧은 시간에 매우 많은 연결 요청을 받을 때 작동합니다.그런 다음 메인 스레드가 연결을 확인하고 새 스레드를 시작하는 데 약간의 시간(아주 짧지만)이 걸립니다.back_log 값은 MySQL이 일시적으로 새 요청에 대한 응답을 중지하기 전에 이 짧은 시간 동안 쌓일 수 있는 요청 수를 나타냅니다.단기간에 많은 수의 연결이 예상되는 경우에만 이 값을 늘려야 합니다...
MySQL 5.7 부터 read_only종류가 4가지 종류로 늘어나게 되었습니다.단순히 복제 서버에서 Write를 막기위한 read_only뿐만이 아니라 특수한 read_only 파라미터도 있는데 이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innodb_read_onlyinnodb Strage Engine을 사용하는 테이블들에 대해 모두 읽기로만 작동되게 합니다. 기존 5.7 이하 버전에서는 InnoDB Storage엔진을 사용하는 테이블들에 대해서만 삭제나 생성이 불가능했는데 8.0 이상부터는 모든 스토리지 엔진을 대상으로 읽기 상태로 바뀌게 됩니다.참고로 위의 innodb_read_only가 활성화 되면 다음과 같은 명령어들이 실패하게 됩니다.ANALYZE TABLE, ALTER TABLE tbl_name ENG..